2강 순서도

  • 논리 상수는 참일 때 TRUE, 그리고 거짓일 때 FALSE 이다.
  • 기호상수(Symbolic Constanc)는 변할 가능성이 없는 준비 단계에서 명칭을 지어 사용하는 변수이다.
  • 단말기호(Terminal)는 순서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.
  • 준비기호(Preparation) == 초기값(initial Value) 선언

3강 기억장소

  • 치환식에서 등호(‘=’)를 기준으로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값을 왼쪽 값(L-Value),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오른쪽 값(R-Value)라고 한다.

4강 식과 문장

  •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다.

    첨자 연산자 > 논리 연산자 > 산술 연산자 > 관계 연산자 > 논리 연산자 > 치환 연산자

5강 제어구조

  • 제어 구조는 순차구조(Sequence), 선택구조(Selection), 반복구조(Iteration)으로 구성함

6강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

  • 폭포수 모형(Waterfall Model)은 아래와 같다.

    요구 사항 수집 > 분석 > 설계 > 구현 > 테스트 > 운영/평가 > 유지보수

  • 모듈(Module)은 한 가지 일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일부분이다.
  • 아래의 설계 모형은 대표적인 예시이다. (ex) 순서도(Flow chart), 나씨-슈나이더만 차트(Nassi-Schneiderman Chart, NS-Chart), 의사코드(Pseudo code)
  • (중요) 상세 설계(Detail Design)의 단계는 아래와 같다.
    1. 문제 이해 단계
    2. 자료명세서와 처리과정 작성 단계
    3. 순서도 작도 단계
    4. 구현
    5. 테스트
    6. 검토 및 평가

나프잘 프로그래밍 입문 후기

사실, 이해는 됬지만 필요할 때 기억이 나올 수 있을 지 모를 정도이다. 하지만 평소에 코딩을 할 때 ‘왜 내가 할 수 없었는지’라는 대답을 알 수 있었다. 어떻게든 구현만 하면 된다는 사고 방식이 잘못된 것이였다. 뭐…… 물론 마무리하고 남은 시간에는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그 장점 하나만 있었다는 걸 지금 직장에 다니면서 뼈져리게 느꼈다. 온전히 내것을 만들기 위한 시간을 절대 쓰지 않았다는 것이 말이다. 이제는 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나를 조금씩 단단하게 만들자. 지금은 그럴 시간이다.